진료질환
두통이나 안면통을 일괄해 두통이라고 부릅니다.
몇년동안 변함없이 지속되는 만성두통으로 나뉩니다.
· 머리 한쪽 혹은 양쪽 전두부가 아프다.
· 머리 한쪽, 눈 깊은 곳 관자놀이가 아프다.
· 통증이 시작되기 전, 눈이 침침하고 빛이 번쩍인다.
· 몇 초간의 통증이 여러 번 반복된다.
· 일시적으로 일어나는 심한 두통으로 자연히 없어지거나 진통제 2-3회 복용으로 치료됩니다.
· 증상이 24시간 이상 지속되면서, 의식장애, 고열, 시력장애, 구토증, 손발의 마비, 안면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, MRI CT 등 뇌 정밀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· 통증의학과 치료가 필요한 경우입니다.
· 두통이 일어났다, 멎었다 하며 계절에 따라 편할 때와 고통스러울 때가 있기는 하지만 갑자기 악화되거나 차츰차츰 통증의 정도가 진행되지는 않습니다.
· 10대부터 20대까지 여성에 많으며, 침대에서 일어날 때 발생하기 쉬운 두통
· 통증은 짧으면 두세시간, 길면 3일간 지속됩니다.
· 통증의 발작이 1주일 또는 한달에 한번씩 반복 되기도 합니다.
· 읽고 있던 책의 문자가 희미해지면서 보기 어려워지거나 혹은 시야에 반짝이는 모기나 유리를 자른 자국 같은 것이 보이기도 합니다.
· 머리에 혈액을 운반하는 혈관이 확장하기전 수축하는 시기에는 전구증상, 즉 눈에 섬광과 같은 빛이나 시야의 결손, 구토증 등, 마비증상이 출현하기도 합니다.
· 피로나 스트레스에 의해 뒷머리 근육이 긴장하며 일어나는 두통입니다.
· 20세 이상에서 많습니다.
· 관자놀이, 뒷머리, 목, 어깨에 쪼이는 듯한 아픔이 지속되기도 합니다.
· 명백한 신경손상 후 생긴 통증입니다. 치아를 뽑거나, 외상 직후, 수술 후 등
· 작열통과 반사성 교감신경 위축증은 6개월 이내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.
· 발병 즉시 신경차단술을 받으면 간단합니다.
· 6개월 이상 통증을 방치하면 뇌 와 척수가 통증을 기억하므로 치료가 매우 어렵게 됩니다.
· 두통 중에서 가장 통증이 심한 대표 두통이 군발성 두통 입니다.
· 20대부터 40대 남성에서 많으며, 통증이 너무 심해 자살을 생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· 두통만이 아니라 얼굴의 반쪽이 심하게 아프기도 합니다.
· 봄이나 가을에 한번의 통증 발작이 얼어나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.
· 교감신경 차단술의 일종인 성상신경절 차단술을 합니다.
· 편두통 환자의 두뇌 혈관이 두통 발작의 반동으로 평소 얼마동안 수축 상태로 있어, 평소의 혈관 수축을 정상화해주면, 비정상적인 혈관 확장이 생기지 않아 편두통 발작을 예방합니다.
· 성상신경절은 머리, 팔, 가슴 및 등으로 가는 교감신경이 모여 있고, 별 모양입니다.
· 사용하는 약제는 어린아이, 나이 많은 분, 임산부 에게도 안심하고 사용 가능 하고, 반복 사용해도 해롭지 않고, 외래에서 사용해도 됩니다.
· 한번의 신경차단술로 완전히 치료되는 경우도 있으나, 스트레스 등의 정신적인 요소도 얽혀 있는 두통으로 일반적으로는 느긋하게 치료하는 자세가 중요합니다.
· 치료와 함께 스트레스에 시달리지 않는 일상 생활이 매우 중요합니다.
· 정신안정제가 효과가 있습니다.
· 기분을 이완시키는 일이 통증을 완화시킵니다.
· 신경차단술도 대단히 효과적 입니다.
통증의 직접원인이 되는 뒷머리로 가는 신경을 차단하면 통증이 사라지며, 교감신경의 흥분이 정상화 되면 긴장이 해소되고, 근육의 긴장이 풀리며 두통도 사라집니다.
· 교감신경 차단인 성상신경절 차단을 중심으로 치료 합니다.
· 후두신경, 국소 압통점 주사, 목 어깨의 신경차단 등을 조합하여 치료 합니다.
· 산소 흡입법 - 두통 발작이 일어나면, 산소마스크를 쓰고 1분에 10L 이상 산소를 흡입하는 치료 방법입니다. - 고농도의 산소가 뇌혈관을 수축시키기 때문입니다.
· 신경차단술도 병행하기도 합니다.